본문 바로가기

School Study/Adult Learning

성인학습론 이론 - ANDRAGOGY

성인학습론 이론 중에 andragogy에 대해 알아보자.

이와 관련된 과거의 학자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공자(Confucius), 노자(Lao Tse)
  • 예수(Hebrew prophets Jesus)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소크라테스(Socrates), 플라톤(Plato)

먼저 이러한 학자들이 제시하는 이론들을 살펴보기 전에 이 시대의 흐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과학적인 측면과 예술적인 측면 2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자.

[과학적인 측면]

  • 철저한 조사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고자 했다.
  • 손다이크(Edward L. Thorndike)의 "Adult Learning" 책이 1928년에 발간되었다.

[예술적인 측면]

  • 직관과 경험적인 분석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고자 했다.(경험 → 어른이 배우는 것들)
  • 린드만(Eduard C. Lindeman)의 "The Meaning of Adult Education" 책이 1926년에 발간되었다.

린드만의 5가지 주요 가설을 살펴보자.

  1. 성인은 학습에 만족할 필요와 흥미를 경험할 때 배우기를 원한다.
    따라서 성인 학습의 구성에 활동적인 요소를 배치하는 것이 좋다.
  2. 성인들의 학습 방향은 삶 중심적이다.
    따라서 성인 학습의 적절한 주제 구성은 과목이 아니라 삶의 상황이다.
  3. 경험은 성인 학습의 가장 좋은 자원이다.
    따라서 성인 학습의 핵심 방법은 경험을 분석하는 것이다.
  4. 성인은 자기 주도성 학습이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교사의 역할은 자신의 지식을 전달하기보다는 탐구 과정을 거치게 하며 그 과정이 적합한지 평가하는 것이다.
  5. 나이에 따라 사람마다 각자의 고유한 성향을 가진다.
    따라서 성인 학습은 스타일, 시간, 장소 및 학습 속도의 차이에 대해 최적의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임상 심리학(Clinical Psychology)]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그들이 겪고 있는 정신장애나 심리적 문제를 평가하고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 누구보다 심리적 사고에 많은 영향을 끼쳤지만 프로이트는 그가 만든 학습 이론들을 공식화시키지 않았다.
  • 프로이트는 무의식적인 마음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많은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칼 구스타브 융(Carl Jung)

  • 인간의 의식은 4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소개했다.
    • 감각(Sensation)
    • 생각(Thought)
    • 감정(Emotion)
    • 직관(Intuition)

에릭 에릭슨(ERIK ERIKSON)

  • 사람의 8단계 라이프 사이클에 대해 소개했다. - 마지막 3단계가 성인에 적용된다.
Human Life Cycle

매슬로(Abraham Maslow)

  • 안전의 역할에 대해 강조했다. - 인간의 욕구들

 

Hierarchy of Needs

칼 로저스(Carl Rogers)

  • 5 가지 "기본 가설"에 근거한 학생 중심 접근 교육 방식을 개념화했다.
    • 5가지 기본 가설
      1. 우리는 서로 다른 사람을 직접 가르칠 수 없다. 우리는 오직 그가 학습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2. 사람은 자신의 구조를 유지 보수하거나 강화화는 것과 관련 있는 것만 크게 배운다.
      3. 새로운 환경에 동화되기 위해 자기 자신의 변화를 수반하는 경험은 상징화의 거부 또는 왜곡을 통해 저항받는 경향이 있다.
      4. 자아의 구조와 조직은 위협 하에서 더욱 단단해지고 위협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때 그 경계를 완화한다. 자기 자신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경험은 현재 자기 조직이 그것을 포함하도록 이완되고 확장된다면 동화될 수 있다.
      5. 중요한 학습을 가장 효과적으로 촉진시키는 학습 상황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자아에 대한 위협 최소화
        • 각 영역별로 차별화된 인식이 용이한 환경

 

[발달 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

나이와 관련된 특성에 대한 지식을 제공한다.(신체적 능력, 정신능력, 흥미, 태도, 가치, 창의성, 라이프 스타일등..)

관련 논문들

  • Kuhlen(1957) - life-span developmental psychology
  • Havighurst(1972) - "teachable moments."
  • Sheehy(1974) - a popular portrayal of the "Predictable Crises of Adult Life"
  • Knox(1977) provided a more scholarly summary of research findings on adult development and learning.
  • Stevens - Long, 1979; Stokes, 1983 

 

[사회학 및 사회심리학(Sociology and Social Psychology)]

조직과 거대한 사회 시스템의 행동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알아내는 것에 많은 공헌을 했다.

환경적인 요소들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생각한다.(문화, 인종, 인구 특성 및 밀도 등)

 

[Pedagogy and Andragogy]

Pedagogy라는 단어는 Andragogy라는 단어보다 훨씬 오래된 단어다.

Pedagogy는 "아이들을 가르치거나 가이드한다" 을 의미한다.
Andragogy는 "성인을 가르치기 위한 기술이나 방법" 을 의미한다.

Pedagogy

  1. 알아야 할 필요성 - 학습자들은 그들이 통과하고 승진하기 위해서 교사가 가르치는 것을 배워야 한다고만 알고 있습니다. 그들은 배우는 것이 자신의 삶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 필요가 없다고 느낀다.
  2. 학습자의 자아개념 - 학습자에 대한 교사의 컨셉은 성격에 따라 다르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자아컨셉도 결국 학습자의 성격에 따라 변한다.
  3. 경험의 역할 - 학습자의 경험은 학습을 위한 자원으로 별로 가치가 없다고 느낀다. 중요한 것은 교사, 교과서 작가 및 시청각 도구 제작자의 경험이라고 느낀다.
  4. 학습 준비 - 학습자는 교사가 "통과하고 승진하기를 원한다면 배워야한다"고 말하는 것을 배우기 위해 준비한다.
  5. 학습 방향 - 학습자는 학습에 주제 중심의 방향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학습이 주제 내용을 습득하는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학습 경험은 주제 내용의 논리에 따라 구성된다.
  6. 동기 - 학습자들은 외부 요소들에 의해 동기를 받는다.(성적, 외부적인 압박 등..)

 

[성인이란 무엇인가]

  1. 생물학적으로, 우리는 번식할 수 있는 나이가 되면 성인이라고 부른다.
  2. 법적으로, 투표를 할 수 있고, 운전면허증을 취득할 수 있으며, 외부의 동의없이 결혼할 수 있는 나이에 이르면 성인이라고 부른다.
  3. 사회적으로 성인의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할 때 성인이라고 부른다.(풀타임 직장인, 투표하는 시민, 부모 등..)
  4. 심리학적으로, 우리의 삶을 책임질 수 있는 자아개념에 다다르면 성인이라고 부른다.

 

'School Study > Adult Lear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